총 8문제가 (6알고리즘, 1SQL, 1Web) 출제된다고 미리 예고했다. 본인은 solved 기준 딱 400문제를 풀었다. 기본적인 자료구조는 숙지하고 있고, '골드5 이하의 문제를 무난하게 풀정도'로 공부하는 것을 현재 PS(Problem Solving)의 목표로 삼고 있다. 서류합격 후 지난 2년간 코테 유형 확인 후 PS 감각을 올리기 위해 일주일에 30문제정도 풀었다. 원래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c++이랑 파이썬을 섞어서 쓰는데, 이번 코테는 시간제한이 100초라서 좀 더 자신있는 파이썬으로 풀기로 했다. SQL은 웹 프로젝트를 하면서 기본적인 것들은 다룰 수 있었지만, SQL 문제를 풀어본적은 없어서 타블로그에서 본 합격자분의 조언대로 프로그래머스의 SQL 고득점 Kit를 싹 풀어봤다. ht..
올해는 학과공부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부를 해보고자했다. 과감하게 지난방학 계절학기를 마지막으로 휴학원서를 접수하고, 방학 때는 자기 개발에 집중했다. 군대가기전 최대한 해보고 싶은 것들을 해보면서 지내고 싶었고, 무엇보다 소마에는 꼭 한번 도전해보고 싶었기에 두 달 동안은 소마 지원 준비에 열중했던거 같다. (본인 활동 기록 및 이후 지원하시는 분께 도움이 되었으면해 작성한 글입니다. 규정상 문제가 된다면 즉시 삭제 하겠습니다.) 1월에 유튜브로 온라인 설명회를 했는데, 총 4번의 테스트를 통과해야 합격할 수 있었다. 작년에 13 : 1이라는 지원율 덕분인지 어지간한 대기업 인턴 공고인줄 알았다... 1차(2/17) - 서류 지원서 2차(3/05) - 1차 코딩테스트 3차(3/19) - 2차 코딩테스트 ..
최근에 코테 준비도 그렇고 PS(Problem Solving)에 다시 재미를 붙여서 BOJ 풀밭 가꾸기 중이다. 1년동안 휴면 상태이던 codeforce도 다시 시작해봤다. (언어의 장벽을 돌파해서) 색깔권까지 올려 놓는게 목표다. 과거에 파이썬으로 PS를 하다가, 수많은 시간초과 억까와 학교 수업이 c, c++ 위주였기에 눈물을 삼키며 파이썬을 놓아줬었는데 막상 대회 준비를 하고, 코테 준비를 하다보니 역시 파이썬이 편하다 본인은 파이썬 IDE(갑자기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라고 한다)로 Atom을 쓰는데 Github에서 만든 editor이다. 원래는 파이참, spyder 이것 저것 써봤는데 Atom이 GUI가 간결하기도하고, Github와 연..
일주일간 소마 코테 준비하느라 여유가 없어서 이제야 후기를 적어봅니다. SUAPC는 '2022 신촌지역 대학교 프로그래밍 동아리 연합 겨울 대회'의 줄임말이라고 한다. 아무튼 방학마다 신촌 5개 대학교(연세, 서강, 이화, 홍익, 숙명...? 도 신촌인가?)가 모여서 스터디를 하고, 대회를 한다. 이번이 3번째인가 4번째인가 방학때 최소한의 나태함 방지를 위해서 꾸준히 듣고 있다. 늘 같은 주제인데 새롭다 마침 이번에 소마 코테도 근래에 끼여있고해서 일주일정도는 PS 위주로 했던거 같군요. 12시부터 5시까지 5시간동안이나 진행되었던 근래 했던 대회 중 최장 대회였다. https://www.acmicpc.net/contest/spotboard/764 C -> E -> L -> J -> I 순서대로 풀었다..
fullpage.js는 스크롤 한번에 창을 한 단위로 내리는, 약간 PPT? 같은 느낌으로 웹 사이트가 동작하게 해준다. https://alvarotrigo.com/react-fullpage/ react-fullpage.js - Official React.js component for fullPage.js Official React.js component for fullPage.js. An easy to use wrapper for your react application. alvarotrigo.com 이런느낌으로 마우스 스크롤 한칸(?)에 한페이지가 통으로 넘어가서 사이트 첫 메인페이지에 써보고자 한다. 다른 프로젝트를 하면서 landing page를 만들때 리액트 없이 생으로는 써봤는데, 이번 Rea..
리액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이다. Front : react Back : nodejs + express DB : mongodb 로 이뤄진 프로젝트를 기획중인데, 준비하며 리액트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2편까지의 setting으로 node와 npm을 설치해준다. 1. npm의 상위호환인 yarn을 설치해준다. (성능 속도를 개선했다고 한다.) $ sudo npm install -g yarn 2. create-react-app을 설치하고,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한다. (이하 myshop 자리엔 프로젝트 폴더) $ sudo yarn global add create-react-app $ sudo create-react-app myshop 생성되면 다음과 같이 뜸 3. ..
Lord of SQLInjection(LOS)에서 방학동안 문제를 쭉 풀어보려고 한다. 사이트명 그대로 SQL Injection을 연습할 수 있는 워게임 사이트다. https://los.rubiya.kr/ 요즘 보안관련 공부가 재밌어서 관련된 사이트를 훑어보다가 문제 퀄리티가 좋아서, 방학동안 할 수 있는 곳까지 밀어보려고 한다. 백엔드를 다루면서 SQL도 익힐 수 있었는데, 웹 보안 관련해서도 공부할 겸 좋은 사이트인것 같다. 한 주에 3문제씩 풀고, 모아서 포스팅해보려한다. 1번 - gremlin
종강까지 10시간도 채 남지않은 시점에서 마지막 공부하다가, 방학목표를 최종 설정해봤다. 4개 중 3개 달성이 목표다. 1. 선대계절 B+ 이상 받기(업보 청산...ㅎ) 2. PS - SUAPC 준비 - 계절 전까진 1일 1문제 / 계절 후엔 1일 n문제 - 실/골 : python, c++로 밀기 - solved 기준 class 1에 있는 브론즈 문제 어셈, JS으로 밀기(그냥 c++, python으로 밀자) 3. 보안 공부 - 책 내용 블로그에 정리하기 - 워게임 사이트에서 문제 풀기 --- 써니나타스 (1주/2문제) http://suninatas.com/ --- LOS (1주/3문제) https://los.rubiya.kr/ --- pwnable (1주/1문제) https://pwnable.kr/ 4..
시험기간에는 다른 공부가 재밌고, 블로그 포스팅이 재밌고, 독서마저도 재밌음 전날(사실 당일이다) 새벽 3시까지 해커톤을 마무리 짓고, 동기들이랑 게임한판 뚝딱하고 집가니 5시였다(악마들의 계략에 넘어갔다) 알람을 기기마다 맞춰서 3종류를 7시반에 맞추고 잤다(눈을 감고 떴더니 쨍쨍) 몸이랑 뇌가 분리된 상태로 지난번과 필기때와 똑같은 성동공고로 향했다. 준비할 때는 일단 굉장히 막막했다. 필기와 달리 기출이나 문제집이 오피셜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었기에 폭넓게 보안을 공부했다. 시험은 12문제가 출제되었고,구글링에서 나온 복기자료가 굉장히 도움되었다.(거의 절반은 비슷한 문제로 나온듯) 그리고 남은 문제들은 필기 공부하면서 공부했던 것 + 리눅스에 대한 명령어들이 많이 출제되었다. VMware를 이용해서..
Github : https://github.com/wq0212/campus-compass Site : http://campuscompass.site/ 어느날 인스타를 보던 중 본교 아트앤테크놀로지(이하 아텍) 학과에서 해커톤이 개최된 공고를 확인했다. 비슷한 기획이 컴공 학생회 하면서도 말로만 나온적이 있었지만, 구체화 된적은 없었다. (게시물 사용 허락과 해커톤 기획 등을 해주신 아텍 학생회 관계자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 본인도 웹개발에 관심있고, 최근 웹보안 공부하면서 틈틈이 생각나는 프로젝트 아이디어는 뽑아둔게 몇개 있어서 참여를 결심했다. 결정적으로 대부분 혼자서 개발하거나, 프론트/백엔드 정도로만 나눠서 개발해본적이 있었기에 디자인, PM을 끼고 팀 프로젝트를 경험해보고 싶기도 했다. 직..